Show interface를 보면서 어떤 내용일까 하고 찾아보고 정리하여 엑셀파일로 저장하였습니다.
## | Show interface |
1 | TenGigabitEthernet1/49 is down, line protocol is down (err-disabled) |
내용 | ▶
TenGigabitEthernet1/49 is down : 인터페이스의 물리적인 상태를 표시 (물리 계층) - up : no shutdown 상태 - Administratively down : 관리자가 해당 인터페이스를 shutdown 시킨 상태 - Disabled : Keepalive 주기(default 10 sec)동안 5,000개 ▶ line protocol is down : 인터페이스의 링크 상태를 표시(데이터 링크 계층) - up : 링크 계층이 no shutdown 상태 - down : 상대측 장비와 링크 계층이 상이함 ▶ (err-disabled) : Link-flap(해당 인터페이스가 up/down이 반복 되는 상태)으로 인해 인터페이스 자동으로 다운되어 표시 됨 |
show interface gi1/49, show interface status err-disabled를 입력하면
err-disabled에 해당하는 포트 들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해당 인터페이스에 접속해서 shutdown과 no shutdown을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게 일반적이지만 넥서스 장비의 이슈에서는 Gbic을 교체한 후 해당 인터페이스 포트에 shutdown과 no shutdown을 해도 바뀌지 않았다. 이런 부분이 있다면 택을 보내야 한다. |
|
-------------------------------------------------------------------------------------------------------------------------------------------------------------------------------------------------- | |
2 | Hardware is Ten Gigabit Ethernet Port, address is 78da.6e15.3030 (bia 78da.6e15.3030) |
내용 | ▶ 10G Ethernet
Port로 되어 있다. ▶ 해당 인터페이스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MAC address를 표시, 보통 Mac address와 bia address는 동일하다. 그러나 HSRP등 가상 MAC address를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운용할 때는 다음과 같이 ROM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가 서로 다르다. ▶ (bia 78da.6e15.3030) : 해당 인터페이스의 ROM에 저장되어 있는 MAC 어드레스를 표시 |
-------------------------------------------------------------------------------------------------------------------------------------------------------------------------------------------------- | |
3 | Description: bb1 |
내용 | ▶ Description(설명)은 bb1이다. |
-------------------------------------------------------------------------------------------------------------------------------------------------------------------------------------------------- | |
4 | MTU 1500 bytes, BW 10000000 Kbit/sec, DLY 10 usec, reliability 255/255, txload 1/255, rxload 1/255 |
내용 | ▶ MTU 1500byte
: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최대 전송할 수 있는 크기를 발하며 바이트 단위로 표시되고 Default는
1,500 Byte ▶ BW 10G : 인터페이스의 대역폭을 Kbps 단위로 표시하고 이더넷의 기본 대역폭은 10,000 Kbps이지만 현재 사용하고 있는 대역폭은 10G이다. ▶ DLY 10 : 인터페이스의 지연 값을 마이크로 초 단위로 표시한다. 이더넷의 기본 지연 값은 10 마이크로 초이다. ▶ Reliability 255/255 : 인터페이스의 신뢰도(에러 발생율)을 표시한다. 분모가 255로 고정되어 있으며, 분자값이 255이면(255/255) 100% 신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임을 의미, 5분 간격으로 지수 평균치를 계산하여 표시한다. ▶ txload 1/255 : 5분간 패킷이 보내는 평균으로 255/255가 되면 100% 전송 중이다. ▶ rxload 1/255 : 5분간 패킷이 들어오는 평균으로 255/255가 되면 100% 송신 중이다. |
-------------------------------------------------------------------------------------------------------------------------------------------------------------------------------------------------- | |
5 | Encapsulation ARPA, loopback not set |
내용 | ▶ 인터페이스 Encapsulation 방법이 ARPA(Adress and Routing Parameter Area), 루프백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 |
-------------------------------------------------------------------------------------------------------------------------------------------------------------------------------------------------- | |
6 | Keepalive set (10 sec) |
내용 | ▶ 통신이 정상적으로 가능한지 여부 판단, 일정한 시간 간격(10초)으로 송신하는 제어용 메시지 |
-------------------------------------------------------------------------------------------------------------------------------------------------------------------------------------------------- | |
7 | Full-duplex, Auto-speed, link type is auto, media type is 10GBase-SR |
내용 | ▶ 전이중 방식, 오토로 스피드를 설정, 오토로 링크 타입 설정, 미디어 타입은 10GBase-SR |
-------------------------------------------------------------------------------------------------------------------------------------------------------------------------------------------------- | |
8 | input flow-control is off, output flow-control is off |
내용 | ▶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흐름제어 OFF |
-------------------------------------------------------------------------------------------------------------------------------------------------------------------------------------------------- | |
9 | ARP type: ARPA, ARP Timeout 04:00:00 |
내용 | ▶ ARP type:
ARPA, : Ethernet encapsulation을 ARPA로 사용, 이더넷 암호화 하는 방식 중 하나 ▶ ARP Timeout 04:00:00 : ARP 타임아웃 시간을 표시 Default 시간은 4시간이다 |
-------------------------------------------------------------------------------------------------------------------------------------------------------------------------------------------------- | |
10 | Last input 07:28:37, output never, output hang never |
내용 | ▶ Last input :
마지막으로 패킷을 받은 시간 정보를 표시 07:28:37, 이값을 보면 해당 인터페이스에 장애가 언제 발생했는지 알아낼 수
있다. ▶ Last Output : 마지막으로 Frame을 보낸 후 흘러간 시간 정보를 표시하며 이 값을 보면 해당 인터페이스에 장애가 언제 발생했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 Output hang never :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패킷 전송시,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려 인터페이스를 리셋한 후 경과된 시간을 표시한다. 24시간 경과하면 일자와 시간이 표시되며, 일자와 시간으로도 표시할 수 없으면 별표(*)가 표시된다. 해당 장비에는 never로 되어 있었으므로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려 인터페이스를 리셋하지 않았다. |
-------------------------------------------------------------------------------------------------------------------------------------------------------------------------------------------------- | |
11 | Last clearing of "show interface" counters never |
내용 | ▶ Clear
Counters 명령어를 통하여 Count 정보를 Reset한 후 경과된 시간 정보(한번도 실행 안하면 Never로 표시) Clear counter Ethernet x 명령어로 인터페이스의 카운터를 리셋한 후에 경과한 시간을 표시한다. 이 명령어로 카운터를 리셋한 다음에 현재 설명 하고 있는 각종 카운터들의 값들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확인하면 장애의 원인을 찾기 쉽다. 그러나 카운터들을 리셋하기 전에 지금까지의 카운터 값들을 충분히 분석하고, 필요시 Show interface (Giga)Ethernet x 결과를 별도로 저장시켜 두는 것도 좋다. |
-------------------------------------------------------------------------------------------------------------------------------------------------------------------------------------------------- | |
12 | Input queue: 0/2000/0/0 (size/max/drops/flushes); Total output drops: 35 |
내용 | ▶ Size : 현재 Input queue에 들어 있는
Packet의 수 ▶ max : Input queue안에 들어갈 수 있는 최대 Packet의 수 ▶ drops : Input queue가 부족하여 폐기된 Packet의 누적수 ▶ flushes : CPU가 Process 처리를 하지 못하여 미처리된 Packet의 누적수 ▶ Total output drops : Output queue가 부족하여 폐기된 Packet의 누적수 |
-------------------------------------------------------------------------------------------------------------------------------------------------------------------------------------------------- |
|
13 | Queueing strategy: fifo |
내용 | ▶ 현재 사용하고 있는 큐잉
방식(대기행열)은 FIFO(First In First Out)방식으로 진행 Queue에 저장된 데이터 전송 방식 : fifo > queue에 저장된 data중 우선순위 따라 전송 |
-------------------------------------------------------------------------------------------------------------------------------------------------------------------------------------------------- |
|
14 | Output queue: 0/40 (size/max) |
내용 | ▶ Output queue
0/40 : 현재 출력 큐에 대기중인 패킷수와 최대 출력 큐 사이즈를 표시한다. ▶ Input queue 0/76 : 현재 큐에 대기중인 패킷수와 최대 입력 큐 사이즈를 표시한다. |
-------------------------------------------------------------------------------------------------------------------------------------------------------------------------------------------------- |
|
15 | 5 minute input rate 0 bits/sec, 0 packets/sec |
내용 | ▶ Input에서 bits/sec 5분간 평균 사용속도(bps), 5분만 평균 초당 처리 Packet 수(pps) |
-------------------------------------------------------------------------------------------------------------------------------------------------------------------------------------------------- |
|
16 | 5 minute output rate 0 bits/sec, 0 packets/sec |
내용 | ▶ Output에서 bits/sec 5분간 평균 사용속도(bps), 5분만 평균 초당 처리 Packet 수(pps) |
-------------------------------------------------------------------------------------------------------------------------------------------------------------------------------------------------- |
|
17 | 76717179567 packets input, 46509127281326 bytes, 0 no buffer |
내용 | ▶ Input packets
: interface로 수신된 packet의 총 용량, 시스템이 에러 없이 수신한 패킷수를 표시 ▶ Input bytes : 시스템이 에러 없이 수신한 패킷의 총 바이트 수이다. 데이터와 MAC encapsulation까지 포함한다. ▶ No buffer : 메인 시스템의 버퍼가 모자라서 전송 받은 패킷수이다. Broadcast storm 발생시 이 수치가 높아진다. |
-------------------------------------------------------------------------------------------------------------------------------------------------------------------------------------------------- |
|
18 | Received 2402140083 broadcasts (351839173 multicasts) |
내용 | ▶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Broadcasts와 Multicast Packet의 총 수 |
-------------------------------------------------------------------------------------------------------------------------------------------------------------------------------------------------- |
|
19 | 0 runts, 0 giants, 0 throttles |
내용 | ▶ runts : data
field의 최소 전송 패킷 사이즈(46byte)보다 작아서 버린 패킷의 수 ▶ giants : data field의 최대 전송 패킷 사이즈(46byte)보다 커서 버린 패킷의 수 ▶ throttles : 과부하로 인한 인터페이스 disable한 수 |
-------------------------------------------------------------------------------------------------------------------------------------------------------------------------------------------------- |
|
20 | 10 input errors, 9 CRC, 0 frame, 0 overrun, 0 ignored |
내용 | ▶ input errors
: 수신된 모든(no buffer, runts, giants, throttles, CRC, Frame, overrun, ignored)
error packet을 합친 값을 표시 ▶ CRC(순환중복검사) : CRC 값에 이상이 있는 packet의 총 수로 Collision이 발생하거나 noise가 발생하는 경우 등 수가 증가함 패킷 자체의 error checksum을 통해 보내진 데이터와 받은 데이터가 정확한지를 체크하고 에러가 발생할 때 표시 ▶ frame : CRC가 잘못되어 있고, 프레임의 길이가 8의 배수가 아닌 에러수를 표시한다. 충돌이 발생하거나 오동작하는 이더넷 장비가 있는 경우 에러 발생 ▶ Overrun : hardware buffer 부족으로 data를 처리하지 못하고 무시하는 횟 수 ▶ ignored : 수신된 packet이 너무 많아 interface buffer가 처리를 못하고 폐기시킨 packet의 총 수 (장비로 유입도지 못하고 폐기됨) 패킷을 수신한 인터페이스 자체의 내부 버퍼가 모자라서 패킷을 폐기한 총 수를 표시하며 Broadcast storm이나 순간적인 Noise가 원인 |
-------------------------------------------------------------------------------------------------------------------------------------------------------------------------------------------------- |
|
21 | 0 input packets with dribble condition detected |
내용 | ▶ 규정보다 약간 더 긴
길이의 프레임을 받은 총 수를 표시, ▶ frame error counter는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거꾸로 증가시키며 라우터에서는 frame을 받아들인다고 한다. |
-------------------------------------------------------------------------------------------------------------------------------------------------------------------------------------------------- |
|
22 | 75514600553 packets output, 53798731036270 bytes, 0 underruns |
내용 | ▶ output
packets : 시스템이 전송한 총 패킷 수를 표시 ▶ output bytes : 시스템이 전송한 총 바이트 수를 표시, 데이터와 MAC encapsulation까지 포함 ▶ underruns : 라우터가 출력을 위해 하드웨어 버퍼로 데이터를 넘길 수 있는 속도보다 더 빠르게 송신되어서 패킷을 폐기한 총 수를 표시한다. |
-------------------------------------------------------------------------------------------------------------------------------------------------------------------------------------------------- |
|
23 | 0 output errors, 0 collisions, 3 interface resets |
내용 | ▶ Output errors
: 출력 에러의 총 합계를 표시 ▶ Collisions : 이더넷 충돌 때문에 재전송된 프레임의 수를 표시, 이더넷 케이블이 규정보다 더 긴 경우, 하프 듀플레스로 동작하는 멀티포인트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이 많은 경우 등에서 이 수치가 증가함 ▶ Interface resets : 인터페이스가 완전히 리셋된 횟수를 표시한다. 전송을 위해서 큐에서 대기 중인 패킷이 수 초내로 전송되지 못하면 인터페이스 리셋이 일어난다. 인터페이스가 Loop, shutdown 상태에 있어도 리셋이 일어날 수 있다. |
-------------------------------------------------------------------------------------------------------------------------------------------------------------------------------------------------- |
|
24 | 0 unknown protocol drops |
내용 | ▶ 알지 못하는 패킷을 드랍시킨 총 횟수(Unknow packet, Router ACL에 걸리는 패킷, 방화벽 정책에 의한 패킷에 의해서 드랍 될 수 있다) |
-------------------------------------------------------------------------------------------------------------------------------------------------------------------------------------------------- |
|
25 | 0 babbles, 0 late collision, 0 deferred |
내용 | ▶ babbles : 최대
길이의 프레임을 보낼 수 있는 시간보다 더 오랫동안 채널을 점유한 횟수를 표시 ▶ late collision : 512번째 비트를 전송하고 난 이후에 발생하는 충돌을 late collision이라고 한다. 즉, 충돌을 확인하는 시간(이더넷은 프레임 전송 개시후 51.2 마이크로 초, 패스트 이더넷은 5.12 마이크로 초)이 경과한 이후에 발생하는 충돌을 말한다. 통상 이 에러 메세지가 표시되는 장비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케이블의 길이가 길거나, 오동작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가진 장비의 경우, 송수신 장비의 듀플렉스가 서로 다른 경우에 발생하낟. ▶ Deferred : 다른 장비가 프레임을 전송중일 때, 전송 시도로 이더넷으로 프레임을 전송하지 못한 횟수를 의미, 이더넷이 동작할 때 일반적으로 일어 날 수 있는 일이므로 크게 신경 쓸 필요가 없다. |
-------------------------------------------------------------------------------------------------------------------------------------------------------------------------------------------------- | |
26 | 0 lost carrier, 0 no carrier |
내용 | ▶ Cable 등이
불량이어서 패킷을 전송 중에 일부가 유실된 총 횟수 Collision은 half duplex에만 해당, full duplex에는 감지되지 않는다. |
|
-------------------------------------------------------------------------------------------------------------------------------------------------------------------------------------------------- |
27 | 0 output buffer failures, 0 output buffers swapped out |
내용 | ▶ Output buffer
failures : output buffer가 failures상태가 된 횟 수 ▶ Output buffer swapped out : output buffer이상으로 바뀐 횟 수 |